자료실

본문 바로가기
메달이미지

자료실

교류분석 이론을 통한 심리상담응용(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57회 작성일 19-10-19 17:42

본문

교류분석 이론을 통한 심리상담응용(1)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치유는 심리학의 교류분석이론에 학문적 근거가 있다. 교류분석 이론에서는 인간행동은 자아의 지배를 받으며, 인간의 행동변화는 자아 상태의 전환의 결과로 본다. 자아는 사고, 감정, 그리고 이것과 관련된 일련의 행동유형을 통합한 하나의 체계로서 가변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캐나다의 정신의학자 Eric Berne이 발표한 교류분석 이론은 자아 상태를 부모 자아(Parent Ego)’, ‘어른 자아(Adult Ego)’, ‘어린이 자아(Child Ego)’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한다. 부모 자아는 비판적 부모 자아양육적 부모 자아로 더욱 세밀하게 구분하며, 어른 자아는 구분하지 않는다. 어린이 자아는 자유로운 어린이 자아순응하는 어린이 자아로 더욱 세밀하게 구분한다.


1) 부모 자아 상태

부모 자아는 6세경부터 발달하는데, 5세 이전에 부모를 포함한 연장자들의 말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자기에게 내면화 시킨 자아이다. , 부모 자아는 부모 또는 연장자들을 무의식적으로 모방하는 모방 학습에 의해 발달하며 사회문화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

비판적 부모 자아의 특징은 자신의 신념이나 가치관이 강하지만 상대방을 위압적이고 강압적으로 제압한다. , 권위적이고 엄격하여 상대방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해야 한다는 식으로 말한다). 양육적 부모 자아의 특징은 마음이 온화하고 따뜻하며, 상대방을 지지하고 격려한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상대방을 지나치게 보호하고 개입하여 개인의 자주성을 무시하게 되고, 지나치게 동정적이어서 타인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한다.


2) 어른 자아 상태

어른 자아는 글자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생후 18개월부터 발달하기 시작한다. 어른 자아는 12세경부터 정상적인 기능을 하게 되는데, 자신에 대한 독창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면서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며 결정할 수 있게 된다. , 어른 자아는 사실에 근거하여 판단하며, 분석적이고 냉철하다. 사물을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로 접근하지만, 재미보다는 기계적으로 일을 수행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일중독증이 여기에 해당된다. 어른 자아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어린이 자아와 부모 자아의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어른 자아는 감정에 지배되지 않는 냉정한 부분이지만, 정신적으로 성숙한 인간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3) 어린이 자아 상태

어린이 자아는 5세 이전의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데, 인간 내에서 자연히 발생하는 충동과 감정, , 본능적인 자아로서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감정과 이에 대한 양식이 내면화된 것이다.

자유로운 어린이 자아의 특징은 감정을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표출하여 상대방에게 즐거움을 주고, 생각을 곧바로 행동으로 옮겨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충동적이고 자기도취적이어서 생활 전반에 질서가 잡혀있지 않고 감정의 절제가 부족하여 실수나 경솔한 행동을 많이 한다. 대인관계를 보면 I'm OK, You're OK이다.

순응하는 어린이 자아의 특징은 상대방에게 순응적이고 협조적이며, 의사결정에 있어서 신중하고 조심성 있는 태도를 보인다. 그렇지만 상대방의 눈치를 보고, 비위를 맞추려고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며, 자기비하와 열등감으로 억압된 감정이 분노와 반항으로 나타낸다.


금지령(Injunction)과 대항금지령(Counterinjunction)


금지령은 부모의 내면에 있는 어린이 자아에서 자녀에게 내리는 부모의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는 자녀가 무엇을 해야 하며,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를 말해 주는데, 대체적으로 하지 말라의 내용이다. 이 금지령은 직접적으로 전달되기보다는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경우가 더 많다.

() 너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한다. 가까이 하지 마라. 애들같이 굴지 말아라. 애늙은이.

자녀는 금지령을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대항하여 싸울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대항금지령은 부모의 내면에 있는 부모 자아에서 나오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는 부모의 기대를 표현하는 것으로 “~해야 한다, 그리고 해라의 형태를 취한다.

() 강해져라, 완전해져라, 서둘러라, 열심히 해라, 공손해라 등

이러한 대항금지령의 문제점은 자녀들이 이러한 대항금지령에 따라 생활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자녀들이 아무리 열심히 하더라도 불충분하고 그것을 이루기가 어렵다

  

초기결정 및 재결정

어린 아이는 부모의 금지령에 반응하여 선택을 하게 되는데, 이런 어린 시절의 부정적인 초기결정은 부모에게 인정을 받으려는 욕구나 애무(Stroke)를 받으려는 욕구 또는 신체적, 심리적 생존을 위한 욕구에서 동기화된다.

Eric Berne은 사람들은 이러한 금지령과 그 금지령에 근거하여 내린 결정의 희생물이 되어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를 갖게 된다고 본다. 교류분석에서는 부정적인 초기결정이 내려졌더라도, , 어린 시절에 부모로부터의 부정적인 경험에 의하여 지금 여러 가지 문제를 갖고 있더라도 그것을 바꾸어서 새로운 결정(재결정)을 내려서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다고 본다.


스트로크(Stroke 애무)

스토로크(stroke)는 신체적, 정서적 의미까지 포함하므로 애무가 아닌 스트로크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긍정적 스트로크는 나는 너를 좋아한다.”와 같이 말하는 것이며, 따뜻한 신체적 애무, 수용적인 언어, 친밀한 몸짓 등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긍정적 스트로크는 어린 아이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촉매이며, 애정과 승인의 형태로도 표현된다.

부정적 스트로크는 나는 너를 좋아하지 않는다.”와 같이 말하는 것이며,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정적 스트로크는 어린 아이의 성장을 후퇴시키며, 어린 아이를 왜소화시키고 무안을 줌으로써 자아존중감과 존엄성을 짓밟게 된다.

조건적 스트로크는 나는 네가 이러한 방식으로 행동하면, 너를 좋아할 것이다.”와 같이 말하며, 그와 같이 행동할 때 인정해 주는 것이다.(: “당신이 이 일을 성공시킨다면 보상을 드리겠습니다.”)

무조건적인 스트로크는 나는 네가 어떤 존재이든 간에 기꺼이 너를 수용한다.”와 같이 말하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구만호(2018), 최면의 이론과 실제, 국제심리연구원

Dave Elman(2007), Hypnotherapy, Westwood Publishing Company

Edmond J. Bourne(2005), The Anxiety & Phobia Workbook(4th edition), New Harbinger Publications, 김동일 역(2010), 학지사

Ian Stewart, Vann Joines(1987), TA today : A new introduction to transactional analysis, Life space Publications, 제석봉, 최외선, 김갑숙, 윤대영 (2010), 학지사

John Bradshaw(1990), Home coming : Reclaiming and championing your inner child, New York : Bantam Books, 오제은 역(2004), 학지사



하단로고

CopyrightⒸ국제심리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문의전화 카톡아이디 네이버블로그 유튜브 문의전화 카톡아이디 네이버블로그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