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없게 제동을 가하는 신념 알아보기
페이지 정보

본문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없게 제동을 가하는 신념 알아보기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없게 제동을 가하는 신념을 찾아보자.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모인 장소에서는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을 못하는 여자가 있다고 하자.
무엇이 그렇게 하는가?
‘여자는 순종적이어야 사랑을 받고, 여성으로서의 미덕을 갖는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신념을 벗어나지 않고서는 그 여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없다.
신념에 맞지 않은 일은 내적 갈등으로 인하여 외적인 행동을 약화시킴으로써 원하는 것을 하는데 방해작용을 한다.
내적 신념과 외적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다.
신념은 행동을 강화시켜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갖고 있는 동시에,
자신의 손과 발을 묶어 놓을 수도 있다.
자기 자신에 대한 자기 신념은 ‘나는 누구인가?(자아 정체성)’ 라는 질문에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바로 그것이다.
성격은 ‘자아 정체성’의 욕구를 충족시키려 하는 데서 시작하여 그 결과를 증명하려고 하는 신념의 작용이다.
신념은 모든 행동과 사고와 인식을 규정하는 핵심요인이다.
사람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사건이 무엇이냐?’ 하는 데서 오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믿느냐에 관계된 해석에 달려있다.
- 이전글최면에 걸릴 수 있는지 알아보는 최면감수성 테스트 방법<1> 21.12.22
- 다음글잠재의식의 여러가지 특성 2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