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박사칼럼

본문 바로가기
메달이미지

구박사칼럼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심리상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565회 작성일 11-05-21 13:11

본문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심리상담

<개 관>

Salvador Minuchin에 의해 개발된 구조적 가족치료는 1970년대에 가장 인기 있고 영향력 있는 치료의 접근법으로 떠올랐다. 그 이유는 그것이 진단과 치료를 위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아주 기본적인 구조와 체계를 가지고 가족을 묘사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접근법의 가장 큰 특징은 치료의 목적으로 가족내의 구조적 변화를 강조하는 데 있다.

 

이론가라기보다는 임상가로 알려졌던 Minuchin은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명쾌한 지침을 제공하였고, 가족을 하나의 기본적인 구조로 삼았다. 가족은 서로가 영향을 미치는 집단이며,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상호작용들은 때로는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문제를 야기한다는 것이다. 사실 가족치료는 매우 어려우며 단순하지 않다. 따라서 초보적인 가족치료자는 가족생활을 구성하는 복합적인 상호작용 하에서 미로와 수수께끼에 직면한 것과 같은 어려운 경험을 하는 수가 종종 있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그러한 난해한 상호작용들의 근거와 의미를 깨우쳐주는 명백한 틀을 지니고 있다. 물론 가족구조를 구성하는 정서적인 경계선과 하위체계간의 연합․결탁들은 추상적인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념들을 사용하는 것은 가족치료자들로 하여금 체계적이고 조직된 양식으로 치료과정에 개입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가족을 체계로써 그의 상호작용․과정․형태를 고찰하도록 한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들을 그들의 경직된 습관들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새로운 구조들을 고안하는 것이다. Minuchin의 업적은 조직화된 가족치료훈련과 함께, 치료의 기법들을 조직화하여 가족구조이론을 체계화한 것이라고 하겠다.

 

1. 이론의 주요인물(Sketches of leading figures)

Minuchin은 Argentina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그는 이스라엘 군대 내의 내과의사로 근무했으며, 그 후 미국 뉴욕시에 있는 유태인 보호국에서 Nathan Akerman에게 소아정신의 훈련을 받았다. 1952년에 이스라엘로 돌아와 방치된 아이들을 치료하면서 가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1954년에 미국에 돌아온 후 William Alanson White Institute에서 정신분석적 훈련을 받았다. 그 곳에서 Sullivan의 상호 대인적 정신의학에 심취되었다. 후에 Wiltwyck School에서 비행소년을 위한 일을 할 때 그의 동료들에게 가족을 치료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기간에 Ackerman과 Jackson같은 다른 가족치료자들은 중산층 가족들과 함께 가족치료작업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기존의 접근들은 가난한 가족의 복합적인 문제에는 적합하지 않아 보였다. 그러므로 Minuchin은 이러한 빈곤가족의 복합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과 개념을 개발해야 하였고, 그 가운데 하나가 實演(재연 ; enactment)이었다. 즉 가족들로 하여금 문제가 있는 상황들을 치료실에서 재연하게 함으로써 잘못된 구조를 치료자가 관찰하여 변화시켜 주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구체적이며 행동 지향적이고, 지금까지도 구조적 가족치료의 특징으로 남게 되었다.

1962년에 Minuchin은 가족치료의 성지라고 할 수 있는 Palo Alto를 순례하면서 Jay Haley를 만났다. 2년 후에 Minuchin은 소아 정신의학자로서 그의 초기의 과정을 지도해 주었던 Nathan Akerman과의 접촉을 시도하였다. 대부분의 가족치료자들이 관찰자인 것에 반하여, Ackerman과 Minuchin은 내담자 가족들과 함께 하며, 그 가족의 일원이 되었다. Wiltwyck에서 Minuchin은 그의 동료들(Montalvo, Guerney, Rosman, Schumer)과 함께 『슬럼가의 가족들』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가족치료자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Minuchin의 동료들 가운데는 Montalvo, Jay Haley, Bernice Rosman, Harry Aponte, Carter Umbarger, Marianne Walters, Charles Fishman, Cole Madanes, Stephen Greenstein 등이 있었다. 그들은 미국 전역에 흩어져 1970년대에 구조적 가족치료가 가장 영향력 있는 가족치료 접근이 되도록 도와주었다.

 

2. 이론적 형성(Theoretical formulations)

구조적 가족치료의 이론은 간단하고 실제적이어서 대부분의 치료자들은 조속한 기술습득을 위해 때로는 이론을 무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론이 없으면 실패하고 말 것이다. 지도가 없으면 길을 잃듯이 어떠한 전면적인 계획 없이는 가족논쟁들을 수용하기는 힘이 들며, 그런 상황에서 치료자들은 수동적인 행위에 빠지기 쉽다. 예를 들면 한 남편이 그의 아내에 대한 불평을 늘어놓을 때 수동적인 치료자는 단지 뒤에 앉아서 동정심을 갖고 들어주며 고개를 끄덕이는 것을 제외하고는 해야 할 것이 아무 것도 없을 것이다. 가족과 함께 일하는 데 있어서 수동적이어서는 안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는 가족 구성원들의 문제진단이 확인되지 않으며, 그들 역시 수동적인 치료자들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들은 행동을 원하고, 그들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치료자를 원한다. 가족들은 문제 후의 문제, 위기 후의 위기를 맞게 되었을 때 치료자들이 무엇인가 개입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초보자들은 가족문제의 내용에 말려드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초보자들은 가족들이 갖는 가족의 역동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구조적 가족치료는 가족 상호작용의 과정을 분석하는 지속적인 치료의 전략과 구체적인 기술들을 제공한다. 세 가지의 이론적 기본 개념이 구조적 가족치료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인데, 그것은 가족구조, 하위체계, 경계(선)이다.

 

1) 가족구조(Family structure)

같은 행동이 반복되어질 때 가족들은 지속적인 패턴을 수립한다. 이렇게 반복되는 패턴들은 가족 구성원들이 언제, 어떻게, 누구하고 관계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어머니가 딸아이에게 장난감을 치우라고 말할 때, 그 딸은 아버지가 자신에게 고함을 지를 때까지 어머니의 말을 거절하며 늑장을 부리는 상호작용의 패턴이 시작된다. 이러한 패턴이 반복되어지면 아버지는 유능한 자녀 훈련자로, 어머니는 유능하지 못한 훈련자로 하나의 구조를 만들어 낸다. 훈련자로서 아버지가 방관자(outsider)의 위치에 있을 때, 그 어머니는 자신의 딸에게 보다 더 애정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가족구조는 가족간의 업무 처리를 지배하는 일련의 은밀한 규칙(covert rule)과 연루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가족 구성원들은 언제나 서로를 보호해야 한다”와 같은 규칙은 상황(context)에 따라서, 가족구성원들이 서로 연루되어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면, 만약 청소년기의 아들이 학교에 가기 위해 일찍 일어나야 한다면 어머니는 그를 깨운다. 아버지가 드라이브를 하는 것이 어머니의 신경을 거슬리면 아버지는 쇼핑을 한다. 부모의 갈등 관계에 아이들이 개입한다. 아이들의 문제에 부모들이 열중하기 때문에 두 부부가 함께 시간을 보내기가 힘들다. 이 모든 결과들은 동일 구조 안에서 이루어진다. 그것들의 일부를 바꾸는 것은 모든 가족 상호작용에 연쇄 효과(ripple effects)를 나타내게 된다.

 

가족구조는 일반구속(universal constraints)과 특이구속(idiosyncratic constraints)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구속은 모든 가족의 부모와 자녀들은 서로 다른 양의 권위를 가지면서 일련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가지고 있다. 특이구속은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보완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만일 한쪽의 부모가 책임감이 강하고 유능하면 다른 한쪽은 그렇지 못하다. 그러나 유능한 분이 아프거나 또는 어떤 다른 면이 부족하다면 다른 한쪽이 그것을 떠맡게 된다.

상호교류패턴(transactional patterns)은 미래의 패턴을 결정짓는다. 만일 젊은 어머니가 어린 아이 양육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남편에게 도움을 요청한다면, 그 남편은 다양한 방식으로 반응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는, 부인 가까이 다가가서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을 서로 나눌 수 있는데 이것은 하나의 연합된 부모 양육팀(united parental team)을 만드는 방식이다. 반면에 남편 혼자 모든 것을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아내가 따라주기를 원하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경우 아내는 우울증에 빠질 수도 있으며, 그가 필요로 하는 정서적인 지원을 얻기 위해서 정신치료를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 이렇게 되면 아내는 자신의 남편으로부터 멀어지고 감정적 지원을 얻기 위해 가족 외부로 주의를 돌리게 되는 하나의 구조를 만든다. 그들이 선택한 패턴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것은 변화에 저항하여 자기 영속성(self- perpetuating)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띤다.

 

가족구조는 쉽게 식별되지 않지만, 가족구조를 식별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다. 첫째는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적인 체계와, 둘째는 그 가족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다. 그러나 드러난 사실만으로는 충분치가 않다. 한 가족이 세 아이를 가진 편부모 가족인 것과, 또 부모가 중간에 있는 아이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가족구조가 무엇인지를 치료자에게 말해 주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치료자가 가족 구성원들 안에서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시간을 두고 관찰할 때, 그 구조는 분명해진다. 한 행동은 특별한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그 행동의 반복의 결과는 구조적 패턴을 드러낸다. 한 가지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한 어머니가 17살 된 아들의 비행에 대해 상담하고자 상담소에 왔다. 치료자는 그와의 첫 번 상담에 그녀의 남편과 그 아들, 그리고 세 명의 다른 자녀들도 데려 오도록 요청했다. 그들이 도착했을 때 그 어머니는 그 아들이 불순종한다고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아들은 아무도 자신을 이해해 주지 않으며, 자신은 아직 한 번도 자신의 어머니로부터 어떤 사랑도 받은 적이 없다고 말하면서 화난 목소리로 대답하였다. 어머니와 아들과의 대화는 그들 사이에 극심한 충돌이 있었음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의 상호작용의 결과는 결코 전체의 이야기를 말해 주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 아버지와 다른 세 아이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들은 가족구조 안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관찰할 수 있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만일 아버지가 아내 곁에 있기는 하지만 전혀 관여하지 않는다면 아들에 대한 어머니의 편견은 남편의 관여 부족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세 명의 어린아이들이 어머니와 의견이 일치하고, 그들의 형을 나쁘게 말한다면 세 아이들은 어머니와 친밀하다는 상호교류 패턴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2) 하위체계(Subsystem)

가족들은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함께 결속하는 구성원들의 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개인은 하나의 하위체계이며 둘 또는 그 이상의 집단들은 세대, 성 또는 공통된 관심들에 의해 결정되어진 또 다른 하위체계를 구성한다. 어머니와 막내아이는 다른 사람들이 배제된 단단히 결속된 체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모든 가족 구성원은 여러 개의 하위체계들 안에서 많은 역할을 한다. 한 여자는 아내, 어머니, 딸, 그리고 조카가 될 수 있다. 이런 각각의 모든 역할들은 그녀로 하여금 다르게 행동하고, 다양한 상호 인격적인 선택을 수행하도록 요구되어진다. 만약 그녀가 성숙하고 융통성이 있다면 그녀가 상호작용하고 있는 다른 하위집단들과 조화를 맞추기 위해 그녀는 자신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1) 배우자 하위체계(spouse subsystem)

배우자 하위체계는 性이 다른 두 성인이 가족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할 때 형성된다. 사랑하는 두 사람은 자신들의 생활과 미래, 그리고 기대를 공유하는 데 일치한다. 그들이 구애기간에서부터 하나의 기능적인 배우자 하위체계로 전환하는데 어려운 적응기간이 요구된다. 정상적인 부부관계에서는 서로의 필요를 수용하는 방법과 선호하는 스타일을 배우며 주고받는다. 예를 들면 남편은 일찍 퇴근하여 함께 있기를 바라는 아내의 바람에 적응하는 것을 배우고, 아내는 남편이 조용한 곳에서 신문을 볼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배운다. 이것은 사소한 일이지만 가족에 따라 쉽게 혹은 많은 노력 후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어떤 경우이든 이런 적응의 과정은 그 부부를 하나의 단위(unit)로 굳히는 데 필요하다.

 

배우자 하위체계는 가족이 기능 하는데 필수적이며, 특정한 과업이나 기능을 갖는다. 그 과업들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주요 기술은 상보성과 상호적응성(complementarity and accommodation)이다. 즉, 부부는 서로 다른 분야에서 상대방의 기능을 지지하는 유형을 발달시켜야 한다. 뿐만 아니라 서로 포기한다는 느낌이 없이, 양보할 수 있는 상보적 유형을 발달시켜야 한다. 남편과 아내는 모두 소속감을 얻기 위해서 독자성의 일부를 포기해야 한다. 대칭적 관계(symmetrical relationship)에서는 부부가 독립된 권리를 주장하게 되며, 상호의존성을 수용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즉, 상호적응의 과정에서 부부가 서로 자신의 자라 온 과정에서 얻은 경험에 밀착되어 있으면 타협이나 협상이 어려워지고, 배우자 하위체계의 기능수행이 어려워진다. 반면에 부부가 상대방이 갖고 있는 장점이나 잠재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지원하게 되면, 배우자 하위체계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부부는 상호지원에 의한 상보성 패턴(complementary patterns)을 발전시켜야 한다. 어떤 상보성 패턴은 일시적이며, 나중에 역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남편이 학업을 마칠 때까지 아내가 일을 하거나 또는 첫 아이를 출산할 때까지 일하는 것 등이다. 그러나 어떤 패턴은 견고하고 지속적이다. 전통적인 性 役割 양식(sex-role stereotypes)은 부부가 상보성(complementarity)을 성취하도록 허용하면서도 한 배우자에 대한, 특히 아내의 유능한 기능의 희생을 초래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여성들은 밖에 나가 생계비를 벌어서는 안되고, 자신의 지성을 부인해야 하며, 자신의 자립성을 감추어야 한다. 그리고 자기 남편의 그늘 안에서 살아야 한다. 전통적인 남편은 모든 결정을 할 수 있고, 어린아이의 기저귀를 갈아주어서는 안 되며, 집 주변 일에 시중들어서도 안 된다. 이와 같은 남성의 특권(masculine prerogatives)에 대한 대가는 남성은 울어서는 안 된다는 감정표현의 미숙과, 요리하는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자녀를 돌보는 기쁨을 나눌 수 없다는 것 등이다. 과잉 상호보완적 역할은 배우자의 성장을 퇴보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적당한 상보성은 배우자로 하여금 기능들을 나눌 수 있도록 해주며, 서로를 지원하여 삶을 윤택하게 한다.

 

추구자, 추종자, 능동자, 수동자, 지배자, 복종자와 같은 서로 보완적인 패턴들이 대부분의 부부사이에 존재한다. 그러나 한 기능이 너무 지나칠 때에는 역기능적 하위체계(dysfunctional subsystems)가 성립되어 병리적 문제를 대두하게 된다. 치료자들은 잘 기능 하는 구조 패턴들을 수용하고, 잘 기능하지 않는 구조 패턴에 도전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배우자 하위체계는 부모와 자녀, 그리고 외부 세계로부터 분리하는 경계를 가져야 한다. 부부간의 경계선이 너무 경직되어 있으면 다른 하위체계들이 고립되어 스트레스를 받고, 반면에 부부간의 경계선이 너무 느슨하게 되어 있으면 다른 하위체계들이 부부기능을 간섭하여 가족 내의 질서가 산만해진다. 그러므로 치료자는 배우자 하위체계의 경계선을 보호하고 강화시켜 가족체계의 역기능을 막아야 한다. 그것은 배우자 하위체계는 가족체계 중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2) 부모하위체계(parental subsystem)

자녀의 출생과 함께 가족구조는 변형된다. 부모와 자녀간의 하위체계 상호작용 패턴은 잘 수행되어야 하며, 변화하는 환경에 맞도록 수정되어야 한다. 분명한 경계는 자녀들이 부모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어린이 중심의 가족은 부모와 자녀들을 분리시키는 경계가 밀착되어 있다.

부모 하위체계에 있어서 가부장적 모델의 특징이었던 부모의 확고한 권위는 이제 약화되고, 융통성 있고 합리적인 권위의 개념으로 바뀌게 되었다. 부모는 아이들의 발달상의 욕구를 이해하고, 그들에게 부과하는 규칙을 설명하여야 한다. 복잡하고,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세대차는 점점 심화되고, 자녀 양육의 어려움은 더욱 증가되고 있다. 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자녀 양육의 복잡성을 이해해야 한다.

 

부모와 자녀들은 함께 지내면서도 서로 다른 생활을 공유한다. 자녀와 함께 공유될 수 없는 부부의 기능들은 부부가 그들만의 시간을 갖고 대화하며, 사랑을 나누는 일이다. 그런데 때로는 자녀들의 하찮은 요구에 의하여 부부 경계 유지가 방해받을 때가 있다. 부부를 위한 사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은 부모가 지도자의 위치를 행사하는 계층적 위계구조를 세우는 분명한 경계이다. 그러나 이런 위계구조는 자녀 중심의 생활에서 너무 쉽게 붕괴되어진다. 가족이 효과적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가 分化된 권위를 사용하는 것이 부모 하위체계를 위해서 꼭 필요한 요소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자녀 역시 힘의 분배가 불평등한 상황에서 협상하는 방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

 

치료자가 부모 하위체계를 지지할 때,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원래의 치료목표와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치료자는 단지 약세에 있는 부모 하위체계에게 일정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며, 과도한 통제는 비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치료자가 가족의 규칙을 결정하는 부모의 책임과 의무를 지지함으로써 아동의 권리와 의무를 보장받게 되며, 아동의 자율성을 성장, 발달시킬 수 있다. 치료자의 과업은 가족구조 내의 하위체계들이 협상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3) 형제 하위체계(sibling subsystem)

형제 하위체계는 자녀들이 그들 또래집단과의 관계를 배울 수 있는 사회화의 장이다. 이상적인 부모라면 형제들끼리 타협할 수 있는 능력(경쟁하고, 차이점을 발굴하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을 존중해야 한다. 그것은 어른에게 매인 구속감이 없이 아동들끼리 실험할 수 있는 사회 실험장이다. 또한 아동들은 성장단계의 변화와 타협하기 위하여 부모와 연합하는 것을 배운다. 형제간에 주고받는 상호작용 안에서 그들은 서로 지지하기도 하고 반대하기도 한다. 상호작용을 통한 협상과 협동, 희생과 고립은 자녀들이 경쟁하는 방법,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을 알게 한다.

 

형제 하위체계에서 얻어진 다양한 경험들은 가족 외부 세계와의 접촉에 적용된다. 뿐만 아니라 외부 세계에서 얻어진 새로운 경험들을 형제 하위체계에 끌어들이기도 한다. 이때 형제체계 또는 가족체계의 경계가 너무 경직되어 있거나 밀착되어 있으면 자녀들이 다른 사회체계 안에 들어가는 데 어려움을 갖게 된다. 외아들, 외동딸인 경우 형제체계가 아닌 부모체계에 적응하는 방법을 일찍 배우게 되므로 조숙한 발달을 하게 되는 반면, 자율성이나 또래집단에서의 협동이나 경쟁능력을 발전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치료자는 자녀의 세계를 부모에게, 부모의 세계를 자녀에게 해석해 주는 통역자의 역할을 감당함으로써 가족 내의 하위체계와 가족 외부세계와의 경계를 분명히 할 수 있다.

 

3) 경계(Boundary)

경계라는 용어는 하위체계간에서 주로 사용하는 말이다. 경계는 직접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개인과 하위체계 사이, 또는 가족성원과 다른 가족 사이에 허용할 수 있는 접촉의 양과 종류는 이러한 경계로 구분된다. 각 하위체계는 독자성, 기능,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하위체계간의 독자성, 기능, 관계는 서로의 관계에 의해 지배된다. 경계란 가족의 상호작용과정에 구성원의 누군가가 어떤 방법으로 참가할 수 있는가에 대한 규약이다. 그리고 하위체계간의 상호 역동은 이 경계가 명확한지, 밀착되어 있는지, 분리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애매한 경계(diffused boundary), 명료한 경계(clear boundary),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의 세 가지로 구별된다(<그림 1> 참조).

개인, 하위체계, 전 가족은 상호경계에 의하여 한계가 설정된다. 상호경계는 다른 사람과의 접촉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개인과 하위체계를 둘러싸고 있는 보이지 않는 경계이다. 경계는 가족과 하위체계의 독립과 자율성을 보호한다. 저녁식사 시간에 전화를 금지하는 규칙은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그 가족을 보호하는 하나의 경계를 세우는 것이다. 어린 자녀들이 저녁식사시간에 부모들의 대화에 자유롭게 끼어 들도록 허락하는 것은 부모와 자녀를 분리시키는 경계가 약하다는 것이다. 경계에 의해 충분히 보호되지 않는 하위체계들은 하위체계가 이루어야 할 상호 인격적인 기술의 발전을 제한한다. 만약 부모들이 자녀들의 싸움을 항상 해결하고자 개입한다면 그 자녀들은 그들 자신의 싸움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또래집단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1)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

경직된 경계는 지나치게 제한적이고, 그리고 외부 체계들과의 접촉을 거의 허용하지 않는다. 그 결과로 유리됨(disengagement)을 초래한다. 유리된 개인이나 하부체계는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으며 자율적이다. 긍정적인 면으로는 독립과 성장, 그리고 숙련을 가능하게 한다. 만일 부모가 자녀에게 방황하지 말고 무엇인가 하라고 하면, 이 아이는 무엇인가 자신의 발전을 위한 것을 찾아 노력할 것이다. 유리된 하위체계는 온정과 애정, 양육이 제한을 받으며, 가족들로부터 극도의 긴장을 경험한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들과 거리가 있기 때문에 애정이 부족하고, 아이들이 도움과 격려를 필요로 하는 기회를 살피는 데 둔하다.

 

(2) 애매한 경계(diffuse boundary)

애매한 경계는 관계가 밀착되어 있다. 밀착된 하위체계들(enmeshed subsystems)은 서로 높은 상호지원을 제공해 주지만, 독립과 자율성은 부족하다. 밀착된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를 사랑하며, 사려가 깊다. 그들은 아이들과 많은 시간을 보내며, 그들을 위해 많은 것들을 한다. 그러나 부모와 밀착된 아이들은 부모와의 경계선이 미분화되어 있고, 거리감이 없으며, 강한 소속감으로 부모에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그들 스스로 하는 것을 불편해 하며, 가족 외부의 사람들과의 관계에 문제를 가질 수도 있다.

 

(3) 명확한 경계(clear boundary)

하위체계간의 이상적인 배열은 명확한 경계선이다. 이 경계선은 경직된 경계선이나 애매한 경계선과는 대조된다. 명확한 경계는 명확하면서도 융통성이 있다. 명확한 경계가 있는 곳에서 가족원들은 지지 받고, 건강하게 양육되며, 어느 정도의 자율이 허락된다. 지지․양육․포용 등을 제시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실험에의 자유․개별성․그 자신만의 자아정체성 등을 인정한다.

가족의 구조․규칙․역할 등은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새로운 구조화가 필요할 때에는 변화할 수 있으며, 생활의 각 장면은 삶의 실험이다.

결과적으로 명확한 경계선은 하위체계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며, 변화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협상과 타협을 계속한다. 그리하여 가족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3. 정상적 가족 발달(Normal family development)

가정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정상적인 가족의 삶은 행복하고 화목하다는 것인데, 이것은 하나의 신화에 불과하다. 정상적인 가족들도 그들의 삶에 있어서 문제를 가지고 끊임없이 갈등하고 있다. 비정상적인 가족과 정상적인 가족을 구분하는 것은 문제의 유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가족구조에 달려있다. 정상적인 남편과 아내는 서로에게 적응하며, 자녀들을 양육하는 것, 부모님을 대접하는 것, 문제들을 처리하는 것, 공동체에 적응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 이러한 갈등의 특징은 전개된 양상이나 상황적 위기에 따라 변한다. 정상적 가족의 생활은 평온하지 만도 않고, 문제가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두 사람이 결혼할 때 새로운 연합(union)을 위한 구조는 적응(accommodation)과 경계설정(boundary making)을 요구한다. 그 첫째는, 매일의 생활에서 세부적인 일들을 처리하는 상호적응이다. 배우자는 서로 자신의 익숙한 방법으로 관계를 조직화하려 하고, 상대방이 적응하도록 압력을 가한다. 그러나 상대방의 기대와 욕구에 서로 적응해야 한다. 부부가 어디에서 살 것이지, 아이를 갖는다면 언제 아이를 가질 것인지 등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해 일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TV프로는 무엇을 볼 것이며, 저녁은 무엇을 먹을 것인가, 언제 자러 가고 거기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와 같은 일상의 일들을 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종종 하찮은 일들이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기 때문이다.

 

부부가 서로 적응함에 있어서 부부 사이의 경계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그들을 분리시키는 경계에 대하여 협상해야 한다. 근무 중에 서로 자주 부르는 행위는 그들 자신을 두 명의 독립된 인격으로보다는 단지 한 쌍(pair)으로만 보는 것으로, 그 부부 사이에는 산만하고 밀착된 경계가 존재한다. 반면에 그들이 함께 시간을 보내지 않고, 분리된 침실에서 휴가를 따로 보내거나, 다른 예금구좌를 갖고, 결혼생활보다는 일이나 혹은 외부와의 관계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 그들 사이에는 유리된 경직된 경계가 존재한다. 정상가족 체계 내에서 발전될 수 있는 가족구조 패턴은 다음과 같다.

 

1) 전형적으로 부부는 서로 정도가 다른 밀착된 가족 또는 유리된 가족에서 온다.

사람들은 자신의 원가족에 존재해 있던 것이나 또는 그와 비슷한 것에 더 익숙해 있기 때문에 그와 유사한 상황에 있는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혼기에서의 어려움은 배우자에 대한 기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갈등이 계속 일어난다. 예컨대 남편은 친구들과 놀기를 원하는데 아내는 남편과 함께 있기를 원하며, 영화관에서 남편은 영화의 화면에 집중하기를 원하는데, 아내는 손을 잡고 속삭이기를 원한다. 남편의 주된 관심은 그의 직장에 있고, 아내의 주된 관심은 결혼생활에 있다. 이와 같이 서로의 기대가 다르기 때문에 각자 배우자가 잘못되었다고, 서로 불평하며 서로에게 심한 상처를 주고 있다.

부부는 그들의 원가족으로부터 그들을 분리시키는 경계를 분명히 해야 한다. 그들이 성장했던 원가족은 이제 결혼 생활에서 두 번째의 위치에 놓여져야 한다. 이것 역시 신혼부부와 그들의 부모에게는 어려운 적응이다. 원가족은 신혼부부의 새 연합을 수용하고 지지해야 그들이 정상가족으로 성장한다.

 

2) 자녀의 증가는 가족구조를 새로운 지배적 부모하위체계(executive parental subsystem) 와, 형제 하위체계(sibling subsystem)로 변형시킨다.

부부 하위체계에 자녀가 출산하게 되면, 부모 하위체계와 자녀 하위체계, 형제 하위체계로 나누어진다. 뿐만 아니라 부부가 자녀를 갖게 되면 자녀에게 헌신하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게 된다. 정상적인 가족 내에서도 자녀들의 출현은 부부 하위체계에 긴장과 갈등을 초래한다. 특히 아내의 생활은 남편의 생활보다 더 급진적으로 변화되어간다. 아내는 많은 것을 희생하며, 자신의 남편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요구하게 되고, 남편 역시 아내를 도와주면서도 때로는 아내의 요구가 비정상적이고 불합리하다고 불평하게 된다.

부모 하위체계는 자녀들의 정신적 요구를 돌보아 주며, 그 자녀들에게 가족문화를 전수한다. 자녀들은 가족 내에서 이중적 정체감(dual identity)과 소속감(a sense of belongingness), 분리감(a sense of being separate)을 발달시킨다. 예컨대 洪吉童은 洪氏의 가문이면서 또한 개인 吉童이다. 즉 洪氏 가족의 일원이며 吉童이라는 하나의 고유한 인격체이다.

 

3) 자녀는 연령에 따른 부모 역할(parenting)을 요구한다.

유아들은 주로 양육과 지지를 필요로 하며, 취학 전 자녀나 학동기 자녀들은 지침과 통제를 필요로 하고, 청소년들은 독립과 책임을 필요로 한다. 두 살이 된 자녀를 위한 부모의 역할은 다섯 살 혹은 열 네 살의 자녀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부모의 역할은 이러한 정상적인 발달단계에 맞추어야 한다. 가족은 자녀들의 증가와 함께 그들의 성장발달, 외부적인 환경의 변화에 순응하면서 가족구조를 수정해 나가야 한다. Minuchin은 이러한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 오는 가족의 고통들을 가족치료자들이 병리학(pathology)으로 잘못 생각하지 않도록 경고한다. 정상적인 가족도 가족구성원들의 성장과 변화에 순응하기 위해 걱정과 분열을 경험한다. 많은 가족들은 전환기에서 도움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치료자들은 그 가족들이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들의 가족구조를 수정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4) 모든 가족들은 그 체계에 긴장을 주는 상황에 직면한다.

비록 정상적인 가족이라 하더라도 모든 가족은 전환기적 가족발달단계에서 직면하는 성취되어야 할 과업들로 긴장하게 된다. 정상적인 가족은 이러한 발달적 변화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그들의 가족구조를 수정하며 적응해 나간다. 그러나 병리적인 가족은 더 이상 수정되지 않는 경직된 구조로 나아간다.

 

4. 이상행동의 발전(Development of behavior disorders)

가족체계는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이어야 하며, 환경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융통성이 있어야 한다. 이상행동은 융통성이 없는 가족구조 안에서 상황변화에 적절하게 순응할 수 없을 때 일어난다. 가족 또는 가족구성원들 중의 한 명이 외부적인 스트레스 또는 성장의 전환점에 이르렀을 때 가족구조에 있어서 적응을 위한 변화가 요구된다. 구조적 가족치료자들은 구조적인 문제들을 도식화하기 위해서 몇 가지 다양한 상징적 기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도식화들은 어떠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지를 분명하게 해준다. <그림 2>는 가족구조를 도식화하는데 사용되는 몇 가지 상징적 기호들이다.

가족치료자들에 의해 관찰된 중요한 문제는 부모가 자신들 사이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그 관심의 초점을 아이에게 전환한다는 점이다. 그들은 서로에 대해 걱정하고 염려하는 대신에 아이에 대해서 걱정하고 염려한다(<그림 3> 참조). 이것은 아버지와 어머니에게는 긴장을 감소시키지만, 그것은 아이를 괴롭히는(희생시키는) 것이며, 고로 역기능적인 것이다.

 

역기능 가족의 공통적인 가족패턴은 자녀들 때문에 그 부모들이 계속해서 논쟁한다는 것이다. 아버지는 어머니가 너무 방임적이다고 불평하고, 어머니는 아버지가 너무 엄격하다고 불평한다. 아버지의 역할을 포기하고 있다고 어머니가 비판하면 그것은 아버지로 하여금 더 심한 포기를 초래한다. 밀착되어 있는 어머니가 과도한 관심과 헌신을 가지고 자녀의 필요에 반응하면 유리된 아버지는 아버지의 반응이 꼭 필요할 때에도 반응하지 않는다. 이것은 두 사람 모두 그들 자신의 행동으로 상대방의 행동을 영속(perpetuate) 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 결과는 어머니와 자녀가 아버지를 배제하여 세대교차 연합(세대를 초월한 밀착, cross-generational coalition)을 형성하게 된다(<그림 4> 참조).

 

어떤 가족은 아이들이 어릴 때는 꽤 그 기능을 잘한다. 그러나 자녀들이 성장하여 훈육과 통제가 필요할 때 그들의 요구에 순응하지 못하고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부모는 자녀가 허약하기 때문에 자녀들이 건강을 얻기까지는 그들 자신의 생활에 의미를 주는 외부 일에는 거의 관심이 없고, 오로지 자녀의 건강에만 유별나게 신경을 쓴다. 이들은 자신들의 자녀들에게 너무 헌신적이고 밀착되었기 때문에 애매한 경계를 지닌 채, 자녀들에게 적절한 통제를 가할 수 없게 된다(<그림 5> 참조).

 

밀착된 가족에서의 유아는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그들의 부모는 자녀들을 껴안고, 사랑하고, 많은 격려를 한다. 비록 부모가 자녀를 돌보는 일에 빠져 서로에게 또는 외부의 일에 많은 시간을 가질 수 없을지라도 이 가족체계는 상당히 성공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자녀를 너무 애지중지하는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규율에 순종하고 어른의 권위를 존경하도록 가르치지 않는다면, 자녀들은 학교생활을 성공적으로 하지 못할 것이다. 이런 아이들은 자기자신의 방식을 고집함으로써 난폭하고 고립될 수 있다. 이런 상황의 몇 가지 가능성 있는 결과로 이 가정에 가족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말하자면 아이들은 학교에 가는 것을 두려워 할 것이다. 그리고 자녀에 대한 부모의 관용은 자녀들이 집에 남아있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만일 부모가 며칠 동안 아이들이 집에 있는 것을 허락한다면 그들은 보호받을 수 있는 안전지대에 있게 됨을 알고 등교를 거부하게 된다. 결국 부모의 관용은 자녀의 행동을 은밀히 강화하고 있는 결과가 된다(<그림 6> 참조). 이런 경우는 아이들이 학교에 간다고 할지라도 그들이 다른 아이들에게 적응하는 것을 배우지 않았기 때문에 학교 친구들로부터 거부당할 수도 있다. 그러면 아이들은 쉽게 위축되고, 우울증에 쉽게 빠지게 된다. 즉 부모와 밀착된 아이들은 학교에서 훈련의 문제들을 야기하게 되므로 학교당국은 클리닉과 접촉을 시작할 것이다.

 

가족구조에 있어 구조 조정(structural adjustment)을 필요로 하는 주요한 변화는 이혼하거나 홀로된 배우자가 재혼할 때도 발생한다. 재혼에 의한 혼합가족(blended family)은 자신들의 경계를 재조정하지 않으면 전환기적 변화의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여자가 이혼을 하게 되면 그녀와 아이들은 이혼한 배우자를 제외하고서 명확한 관계를 형성하는 구조에 재적응하기를 배워야 한다. 그러나 어머니는 아버지와 아이들의 접촉을 허용해야 한다. 그런 다음 여자가 재혼을 하게 되면, 그 가족은 새로 결혼한 남편이자 의붓아버지가 참여하도록 구조화되어야만 한다(<그림7> 참조). (재혼할 경우 부부간의 적응과 자녀들과 새 아버지 또는 새 어머니와의 관계기능에 재적응이 필요하다.)

 

때때로 어머니와 아이들은 새 아버지를 동등한 동반자로서 새로운 부모 하위체계의 구성원으로 들어오게 허용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게 될 것이다. 그것은 그 동안 어머니와 자녀들이 서로에게 맞는 상호교류규칙들을 세워 왔고, 서로에게 적응하는 것을 배워 왔기 때문이다. 변화된 규율이 형성되고, 서로가 적응하는 것을 배우기까지 어머니와 아이들은 긴 시간을 필요로 할 것이다. 새 아버지는 자녀 양육에 관한 생각을 주고받을 수 있는 새로운 부부관계라기보다는 이미 형성된 양식을 배워야 하는 외부인(outsider)으로 대우받게 된다(<그림 8> 참조).

 

어머니와 자녀들이 새 아버지를 수용하는 생활패턴으로 수정하려 하지 않고, 그들의 생활양식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고집하면 새 아버지는 좌절과 갈등에 빠져 가족문제가 야기된다. 그 결과는 아이를 학대하거나 계속적인 부부 논쟁으로 진전하게 된다. 이때에 가족들이 치료에 빨리 임하면 변화에 대한 적응은 그만큼 쉬워지나, 반대로 그들이 지연하면 할수록 가족의 문제적 구조는 경직되어 어려워진다.

 

구조적 가족문제의 중요한 점은, 한 가족구성원의 병리적 징후는 그 사람과 다른 가족구성원과의 관계를 반영하고, 그 관계는 가족 내의 다른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만일 16세 된 철수가 우울해한다면, 먼저 그와 어머니와의 관계를 진단해 보아야 한다. 만일 어머니가 아들에게 절대적인 순종을 요구하고, 아버지의 생각이나 외부와의 관계발전을 거부한다면 그것은 어머니와의 밀착관계에서 오는 우울증으로 설명할 수 있다(<그림 9 참조>). 그러나 이것은 단지 가족체계에 대한 부분적인 견해일 뿐, 치료에 대한 완전한 지침은 아니다.

 

5. 치료의 목표(Goals of therapy)

구조적 가족치료자들은 가족의 문제는 역기능적 가족의 구조에 의해 유지된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치료는 가족구조를 변형시켜서 그 가족이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므로 궁극적인 가족치료의 목표는 가족구조의 변화이다. 구조적 가족치료자는 가족 구성원들이 그들의 가족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가족체계에 합류한다. 경계선을 변화시키고, 하위체계를 재정렬함으로써 치료자는 가족 구성원의 행동과 경험을 변화시킨다.

치료자는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것이 아니다. 문제 해결은 가족 구성원들이 해야 할 일이다. 치료자는 가족구성원들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족기능을 수정하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구조적 가족치료의 방법은 역동적 정신치료의 접근과 같다. 증상 해결은 그 자체가 목표가 아니며, 증상해결은 계속적인 구조변화에 따른 결과라고 믿는다. 그러므로 정신 분석가는 환자 마음의 구조를 수정하고, 구조적 가족치료자는 환자 가족의 구조를 수정한다.

 

증상의 변화와 가족기능의 고양은 내적으로 상호 연관되어 있는 목표이다. 그러므로 증상을 바꾸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그들이 지켜온 가족구조의 패턴을 바꾸어 가족 구성원들의 효과적인 기능을 지지해 주는 것이다. 효과적인 기능적 가족은 가족원끼리 상호 지지하는 체계이다. 이 체계가 증상을 해결하고, 개인의 성장을 격려한다.

단기목표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인데, 특별히 거식증같이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의 경우는 확실히 나타난다.

 

가족에 대한 치료목표는 그들의 구조적 역기능이 무엇인가에 의하여, 또는 표현된 문제에 의하여 규정된다. 모든 가족은 독특하지만 공동의 문제가 있고, 나름대로의 특수한 구조적 문제가 있다. 가족의 일반적이고 가장 중요한 목표는 효과적인 위계질서의 창출이라고 볼 수 있다. 부모는 자녀와는 다른 책임이 요구되며, 자녀는 부모가 응집력 있는 집행적 하위체계의 기능을 잘 할 수 있도록 부모를 돕는 것이다. 편부모이거나 자녀들이 많은 가족에서는 가장 나이가 많은 자녀가 부모의 조력자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자녀의 욕구 또한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밀착된 가족의 목표는 그들 주위에 있는 경계를 강화시켜 각 개인과 하위체계를 개별화하는 것이며, 경직된 가족의 목표는 경계를 보다 융통성이 있도록 하여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6. 행동변화의 조건(Conditions for behavior change)

구조적 가족치료는 현재의 역기능적 가족구조를 수정할 수 있는 가족 상호작용에 대한 대안적 패턴을 열어 줌으로써 행동을 변화시킨다. 그것은 새로운 구조를 창조하는 문제가 아니라 잠재적 구조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일단 한 번 잠재적 구조가 기능을 찾아 활성화된다면 그들은 강화되고, 결과적으로 가족구조는 변화된다. 새로운 상호교류 패턴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면서 그 패턴은 새롭고 더 기능적인 효과적인 구조로 자리잡게 된다.

치료자는 가족에 합류하여 융통성과 변화의 가능성을 시험해 보고, 잠재력을 활성화시켜 변화를 창출시킨다. 합류는 치료자가 가족 안에 들어가 그 가족의 상호작용 패턴에 적응하여 가족의 재구조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게 한다. 만일 치료자가 합류하지 못하면 개입이 어려워지므로 가족은 치료자를 거부하게 된다. 반대로 치료자가 가족에 너무 밀착되어 있으면 동화되어, 가족은 개입 이전의 상호작용 패턴으로 오히려 귀환될 가능성이 있다. 둘 중 어느 것도 가족구조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가족 내의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가족은 먼저 치료자를 수용하고, 치료자의 개입에 진지하게 반응해야 한다. 이것은 가족에게 스트레스를 주지만 스트레스는 가족 항성성에 불균형을 야기하여 가족구조의 변화에 대한 길을 열어 놓는다. 치료자와 가족과의 합류와 적응은 재구조화의 전제 조건이다. 가족과 합류하기 위해 치료자는 먼저 가족으로부터 수용되어야 하고, 그들의 행동방식을 존중해야 한다. 이것은 마치 문화인류학자가 어떤 문화를 연구하기 전에 먼저 그 문화에 합류해야 하는 것과 같다.

 

가족의 문화에 합류하기 위해서 치료자는 가족의 엉뚱한 요구와 신청에도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치료자가 성공적으로 가족에 합류한 후에야 비로소 재구조화의 시도가 열매를 맺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구조적 가족치료의 문제 해결은 가족구조의 재구성에 있다. 가족구조의 재구성은 첫째, 문제를 가족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치료자는 가족들의 진술을 추적(tracking)하여 그 내용 안에서 문제를 찾고, 문제 진술은 가족구조를 이해하는 틀로 재구성한다.

내담자는 개인이건 가족이건 간에 문제의 원인을 그들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그들의 관점은 편파적이기 때문에 문제 해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치료자는 그들에게 똑같은 문제이지만 새롭고 건설적인 관점을 제공해야 한다. 재구성을 하기 위해서는 치료과정에서 가족 상호작용을 관찰 할 수 있는 재연(enactment)을 사용한다. 구조적 가족치료자들은 가족 구성원들이 밖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에 대한 진술이나 토론 내용을 가지고 일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모임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이나 가족의 역동성을 보면서 함께 일한다.

 

1) 재연(enactment)

치료과정에서 구조적 가족치료의 초점이 되는 자료는 재연(enactment)과 자연적 행동결과(spontaneous behavior sequence)이다. 재연은 치료자가 가족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가를 보이도록 유도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재연은 보통 치료자가 일부 하위체계에서 특정한 문제를 토론하도록 제안함으로써 시작되며, 다음과 같은 작업이 요구된다.

 

첫째, 치료자는 문제를 정의하고 인식한다. 예컨대 어머니가 딸에게 친구처럼 말할 때, 나이 어린 아들이 자리를 떠나는 것을 관찰하였다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어머니와 딸과의 관계는 밀착관계일 것이며, 아들과의 관계는 유리된 관계일 것이다. 둘째, 치료자는 가족에게 그 재연을 지시한다. 치료자는 어머니에게 “당신의 딸에게 다시 한 번 말해 보세요”라고 지시한다.

 

셋째, 가장 중요한 것으로 치료자는 가족에게 그 재연을 수정하여 지도해야 한다. 치료자는 가족을 위하여 새로운 선택을 창조해야 하며, 새로운 행동의 귀결에 대한 선택도 창조해야만 한다. 많은 가족치료자들이 범하는 흔한 실수는 진정한 변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그들이 본 것을 문제로 분류하여 단순히 비난하는 것이다.

재연을 분석한 후에 치료자는 두 방법 중 하나를 개입한다. 즉,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지적하거나, 또는 계속해서 재연을 하도록 가족들에게 강요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버지가 12 살 된 딸을 호되게 야단친 후에 딸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에 대하여 딸에게 말하도록 한다. 그 후에 치료자는 아버지에게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이 이기고 딸이 진 것을 축하합니다. 계속해서 말씀하십시오. 그러나 딸이 자신의 감정을 더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딸은 아직 어리고 도움이 필요하니까요.”

 

2) 자연적 행동 결과(spontaneous behavior sequence)

재연하는 과정에서 치료자는 가족구조를 설명하는 특징적인 결과들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다. 재연 창출(creating enactment)은 연극을 지시하는 것과 같고, 자연적 행동 결과는 감독의 지시 없이 행동에 무의미한 조명을 비추는 것과 같다.

경험이 많은 치료자는 첫 면접 전에도 가능한 가족구조에 대해 어떤 공식을 발견할 수 있다. 예컨대 치료자는 “과잉행동(hyper action)"하는 아이 때문에 한 가족이 상담소에 온다는 것 외에는 아무 것도 모르지만, 그 가족구조에 대하여 약간은 추측할 수가 있다. 그리고 치료모임이 시작될 때 일어날 결과에 대해서도 약간은 추측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과잉행동”은 종종 어머니와 자녀와의 밀착된 관계에서 오는 역기능이며, 자녀와 어머니와의 관계는 가족 내에서 위계질서의 구분이 결여된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과잉행동하는 아이에 대한 어머니의 과잉연루는 남편으로부터의 정서적 거리감의 원인과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일반적 패턴을 아는 것은 치료자가 첫 모임에서부터 과잉행동하는 아이가 버릇없이 행동할 것이라는 것과, 이러한 행동에 대하여 어머니는 부적절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 가능한 정보를 준비하고 있으면 치료자는 문제행동이 나타나자마자 그러한 결과를 주목할 수 있고, 또 수정할 수 있는 것이다.

 

7. 기법(Techniques)

Minuchin은 구조적 가족치료의 과정을 세 단계로 진술하였다. 첫째로, 치료자는 지도자의 위치에서 가족과 합류하고, 둘째로, 그 가족의 기본구조의 도표를 그리며, 셋째로, 이 구조를 변형시키기 위하여 개입한다.

가족은 살아있는 유기체로서 치료자와 가족간의 진정한 인간 상호작용을 치료에서 창출해 낸다. 그러므로 치료의 전략은 신중하게 계획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인 구조적 가족치료의 기법은 다음과 같다.

 

1) 합류와 적응(Joining and accommodating)

처음 시작은 가족과 인사하는 것이고, 그 다음에는 문제에 대하여 각 가족 구성원들의 견해를 물어 보는 일이다. 치료자는 신중하게 듣고, 또 그가 들은 것을 반영(reflecting)하여 그들의 위치를 인정해 주어야 한다.

처음에 가족치료자는 가족의 방어기제를 해제하고, 걱정을 없애야 한다. 이것은 가족 구성원 모두에 대한 이해와 수용으로 이루어진다. 치료자는 각 사람에게 이름을 부르며 인사하고, 어떤 종류이든 친절한 접촉을 해야 한다. 첫인사는 가족 구성원 개인뿐만이 아니라 가족의 위계질서 구조와 조직에 대한 존경의 표시이다. 치료자는 부모에게 존경을 표시하며, 자녀가 아닌 그들에게 문제를 진술하도록 요청한다. 만일 가족이 어머니를 그들의 대변자로 세우게 되면, 치료자는 처음부터 이것에 도전하지 말고 이 상황을 예의 주시한다.

 

자녀에게도 또한 특별한 관심을 보여야 한다. 그들에게도 부드럽게 인사하며, 단순하면서도 구체적인 질문을 한다. “여보세요. 나는 ○○○인데 네 이름은 무엇이지? 오, 수연이, 정말 예쁜 이름이구나. 수연이는 어느 학교에 다니지?” 만일 아이들이 대답하지 않고 침묵하고 있으면 그렇게 하도록 놔두어야 한다. 그들이 침묵하고, 두려워하고, 분노할 때, 치료자는 그들의 침묵을 수용하여 그들이 서서히 상담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지지를 해 주어야 한다. 예컨대 “그 문제에 대하여 수연이는 어떻게 생각하니? (수연이 침묵)”, “알았다. 수연이는 지금 아무 말도 하고 싶지 않구나. 괜찮아. 아마 조금 있으면 무언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있을 거야.”

가족은 항상성 패턴(homeostatic pattern)을 견고하게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치료는 강한 도전과 직면을 요구한다. 가족의 습관화된 패턴에 대한 공격은 치료자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서 할 때 효과적이다.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의 확보는 가족치료자가 가족 구성원과 합류하여 그들의 수용을 얻었을 때 가능하다.

 

2) 상호작용 작업(Working with interaction)

가족구조는 가족 구성원들의 상호작용방식에서 나타난다. 가족의 역동성은 가족원들이 일어난 사건을 말하고 행동할 때 나타난다. 역동성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가족들은 서로 이야기를 해야 한다. 가족들이 서로 이야기할 때 누가 누구에게, 언제,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하는지 치료자는 관찰해야 한다.

구조적 가족치료자는 재연(enactment)과 자연적 결과(spontaneous sequences)라는 두 종류의 상호작용으로 일한다. 가족원들간의 몇 사람을 골라서 서로 기대되는 상대의 역할을 하게 한다. 그들은 맡은 역할을 표현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를 치료자로부터 듣는다. 치료자가 각자에게 말할 기회를 주고 시작하면 사람들은 상대가 어떠한가에 대하여 말할 것이다. 예를 들면 아내가 남편이 너무 엄하다고 말할 때 치료자는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재연을 발전시킬 수 있다. “부인이 당신은 너무 엄격하다고 말씀하시는데 당신은 부인에게 뭐라고 대답할 수 있겠어요?”

 

재연은 애매하게 요구하기보다는 구체적인 사안을 지적해 주는 것이 대화에 활력을 준다. 일단 재연이 시작되면 치료자는 가족구조에 대하여 많은 것들을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해받지 않고 두 사람이 얼마나 오랫동안 이야기할 수 있는가? 경계는 분명한가? 어느 쪽이 공격하고 어느 쪽이 방어하는가? 누가 중심인물이고, 누가 주변 인물인가? 토론 중 자녀들을 끌어들이는가? 누구와 밀착되어 있는가? 등이다.

 

3) 진단(diagnosing)

문제에 대한 구조적 진단은 개인 차원을 뛰어넘어 가족체계로까지 확대되며, 과거의 분리된 사건(discrete events)으로부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상호교류 작용으로까지 이동된다. 뿐만 아니라 가족진단은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유익이 되는 방향에서 가족구조의 변형에 초점을 두고 서술된다.

그러나 많은 가족치료자들은 가족 체계보다는 개인에게 적용되는 구조로 가족을 분류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 가족의 문제는 어머니가 자녀를 억압하는 것이다” 또는 “이 가정은 부모가 도전적이다”, 또는 “그는 회유자이다” 등이다. 그러나 구조적 가족치료자들은 모든 가족원들의 체계적 상호관계 진술을 전체 체계(whole system) 구조와 경계와 하위체계 개념들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변화의 방향을 지적하는 방식으로 진술하여야 한다. 이러한 진단은 첫 치료모임에서 일어난 상호작용관찰에 근거를 두며, 다음 모임에서는 점점 정확하게 수정되고 정밀하게 진행된다.

 

첫 치료모임 전이라도 찾아올 가족의 구조에 대해 약간의 추측을 해 두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것은 이미 가족관찰을 위한 적극적인 사고단계이다. 만일 치료자가 어머니와 16 세된 딸과 계부로 구성된 가족을 본다고 가정하자. 당신이라면 이 가족구조를 어떻게 상상하며, 어떤 가설을 세워 증명하겠는가? 좋은 추측은 계부를 배제한 어머니와 딸의 밀착된 관계 구조일 것이다. 이것은 모임에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간에 어머니와 딸이 서로 이야기하는 것을 봄으로써 증명할 수 있다. 만일 계부와 딸이 어머니의 개입이 없이는 가까이 지낼 수 없다면, 계부가 유리되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

 

구조의 진단은 가족이 표현하는 문제와, 그들이 보여 주는 구조의 역동성을 설명한다. 그것은 모든 가족원을 포함한다. 위의 예에서 어머니와 딸이 밀착되어 있다는 것을 충분히 알지 못한다면, 당신은 계부의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아야만 한다. 만일 계부가 그의 아내와는 상당히 가까우면서도 딸과는 거리감을 가지고 있다면, 계부와 딸이 서로 즐길 수 있는 활동을 찾아내는 것이 어머니로부터 딸의 독립을 조장시킬 수 있다. 




하단로고

CopyrightⒸ국제심리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문의전화 카톡아이디 네이버블로그 유튜브 문의전화 카톡아이디 네이버블로그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