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관조(Dissociation)기법 활용에 대한 시연중인 구만호박사(NLP교육121기)
페이지 정보

본문
객관적 관조(Dissociation)기법 활용에 대한 시연중인 구만호박사(NLP교육121기)
핵심개념 : 부정적 경험의 극복을 위함, 객관화/둔감화, 3차적 입장, 감정의 중립화, “강 건너 불구경”, “마치 남의 일 같이” 객관적 관조 상태는 경험을 객관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느낌이 없어지거나 강도가 약화된다. 비록 중요하고 강렬했던 경험이라도 이후에 별다른 느낌을 갖지 않고서도 회상할 수 있는 것은 객관적 관조의 결과이다. 궁지에 몰렸던 과거의 고통스러운 기억을 별다른 부정적인 느낌을 느끼지 않고도 떠올릴 수 있게 하며, 경험에서 배울 수 있게 한다. 객관적 관조는 경험을 멀리 떨어져서 객관적으로 바라보며 회고하는 것으로 느낀다.
객관적 관조는 자기 자신을 영화 스크린에서 바라보는 것과 같다. 자기 자신을 어떤 상황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자기 자신과 분리시킴으로써 가능하며 NLP의 기법 중에서도 자주 쓰이는 기법으로 변화를 촉진하는데 강력한 힘이 있다.
※ 실습 1
불행했거나 기분이 나빴던 장면으로 가보자. 그 일을 상상하는 동안에 당신은 당신의 몸을 빠져 나와서 천장 위로 올라가라(상상으로 올라감). 그 천장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라. 당신의 모습이 보이는가? 불행했던 일을 상상하는 당신의 모습을 보라. 그 불행했던 과거의 일도 내려다 보라.
이번에는 하늘 높이 날아 올라가서 밑으로 내려다 보라. 아마도 조금 전보다 당신의 모습이 멀리, 더욱 작게 보일 것이다. 다시 당신의 과거의 불행했던 일을 밑으로 내려다 보라. 저 밑에서 작은 모습으로 벌어지는 일을 물끄러미 내려다 보라. 이번에는 구름을 뚫고 더 높이 올라가서 내려다 보라. 더 높이, 더 높이, 자, 어떤가? 이렇게 높은 곳에 올라가서 밑으로 당신의 모습을, 과거의 경험을 내려다보니까 어떠한가? 처음에 비하여 훨씬 마음이 편해지고 담담해짐을 경험하지 않았는가? 처음의 부정적인 감정이 많이 약화되거나 완화되고 당신은 중립적인 감정상태가 되었는가?